반응형

세계 각국에는 돈을 찍어내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중앙은행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한국은행이 있고, 이러한 중앙은행은 정부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좀 다릅니다. 미국은 미국은행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준비제도(Fed)가 있습니다. 게다가 더욱 신기한 것은 미국의 중앙은행는 미국 정부의 소유가 아니라 민간 소유입니다. 연방준비제도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합니다. 연방준비제도를 구성하는 핵심 뼈대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그리고 연방준비은행입니다.

 

월가에는 가장 유명한 격언이 있습니다. 바로 "Fed(Federal Reserve System)에 맞서지말라"는 것입니다.

 

 

미 상원은 전날 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조2000억달러 규모의 부양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7일 하원을 통과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즉시 발효됩니다. JP모간은 대출 등을 빼고 정부가 직접적으로 쓰는 돈은 1조3000억달러 규모,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5.5% 정도로 분석했습니다.

 

지난 23일 무제한 양적완화를 선언한 Fed는 이날 자산이 사상 처음 5조달러를 넘어 5조2540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3월 둘째주에 3560억달러를 썼고, 지난주에는 5860억달러를 더 투입했습니다. 이런 속도로 돈을 쓴다면 6월이면 10조달러를 돌파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파월 의장은 오늘 아침 "무제한의 탄약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코로나19로 위협받은 미국 경제를 Fed가 어떻게 대처해 가는지 주목해 볼 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식시장에는 테마주가 있습니다. 테마주는 재료가 있어야 하고, 재료는 돈과 뉴스로 포장되어 분위기를 만듭니다. 세력은 돈으로 시세를 만들어 테마를 형성하기도 하고, 사회적인 분위기가 투자심리를 일으켜 상승시세를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코로나19 테마주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테마주는 일반적으로 순환매가 발생합니다. 순환매란 어떤 종목에 호재가 발생해서 주가가 상승하면, 관련 테마주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어 순환적으로 매수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테마주는 총선, 대선, 조류독감, 미세먼지 등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테마도 있고, 사회적 이슈 등으로 발생하는 단일테마도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파생상품(derivatives)이란 상품 가치가 기초자산으로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기초자산이 곡물이나 원자재이면 상품파생상품이고 환율, 금리, 주가 등 금융자산이면 금융파생상품이라고 합니다.

 

즉, 파생상품이란 실물자산(농산물, 비철금속, 귀금속, 에너지 등), 금융자산(통화, 주식, 채권 등)과 같은 기초자산(underlying assets) 가격 혹은 지수로 경제적 가치가 파생(derive)되도록 만들어진 상품 또는 계약을 말합니다.

 

 

 

파생상품은 계약형태에 따라 선도(선물거래 포함), 옵션, 스왑으로 구분됩니다.

 

선물(futures)는 거래소를 통해 거래되지만,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는 장외시장에서 딜러나 브로커를 통해 거래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거래 유형은 헤지, 투기, 차익, 스프레드가 있습니다.

 

헤지거래는 현물(주식) 포지션과 반대방향으로 선물을 매수 혹은 매도해서 현물시장 주가변동 위험을 회피합니다.

투기거래는 선물 자체의 매매차익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차익거래는 선물가격과 현물가격 간 차이를 이익으로 실현하는 거래입니다.

스프레드거래는 보유를 통해 그 가격 차이에 의한 수익을 추구하는 거래입니다.

 

옵션(option)은 기초자산을 미래의 미리 정한 행사가격에서 살 수 있는 권리(call)과 팔 수 있는 권리(put)을 사고파는 계약입니다.

 

스왑(swaps)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금융자산 또는 부채에서 파생되는 미래의 현금흐름(cash flows)을 교환하기로 하는 계약입니다. 통화스왑(currency), 금리스왑(interst rate swaps)으로 구분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네 마녀의 날은 주식 시장에서 아주 무서운 날이니 피해가는 것이 좋다. 정식명칭은 쿼드러플 워칭데이, Quadruple Witching Day.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 개별주식 선물과 옵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고, 3월, 6월, 9월, 12월 둘째 주 목요일이다. 이 날은 예측할 수 없는 잔고물량이 쏟아지면서 주가 등락이 반복된다. 주가 예측이 어려운 날이다.

 

 

 

선물은 1년에 4번 만기일이 돌아온다. 옵션은 1년에 12번의 만기일이 있다. 선물과 옵션이 만나는 날, 즉 4가지 파생상품이 심술을 부린다고 해서 네 마녀의 날이라고 부른다. 경우에 따라 우량 주식을 싼 값에 살 수 있기도 하지만 주가 변동폭이 커서 예측할 수 없는 것은 리스크이다.

 

 

반응형
반응형


이격도는 현재주가와 5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등과의 차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가격이 1,060원인데 5일 이동평균값이 802원이라면, 5일 이동평균선보다 258원 위에 현재가가 있는것입니다.



이격도가 중요한 이유는 어떤 종목이 급등을 하여 이격이 급격히 벌어지면 (과열) 스토캐스틱이나 RSI등 보조지표들이 과열수준으로 들어가 매도 시그널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격줄이기 조정시 매수, 반등시 매도를 이용한 단기거래는 매우 유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중간배당이란 회계연도 중간에 배당하는 것을 의미. 회계연도에 한 차례만 할 수 있으며 반드시 현금으로 배당해야 함. 기업은 중간배당을 기업이미지 개선을 위해 활용하기도 함



단기 투자 세력에게 중간배당은 투자전략으로 사용됨. 중간배당 소문이 돌면 주식을 매집하고, 배당이 끝나면 다시 주식을 매각해 차익과 배당금을 얻을 수 있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