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투자에 입문하는 과정에서 기본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50가지 주식 용어를 설명하겠습니다. 주식 용어를 이해하고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쌓으세요.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하시고, 자신의 재무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세요.

 

반응형



1. 주식 (Stock):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입니다.
2. 증권 (Securities): 주식, 채권, 투자신탁 등을 포함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3.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 회사의 현재 주가에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금액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4. 주가 (Stock Price): 주식의 현재 가격을 의미합니다. 수요와 공급, 회사의 실적,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됩니다.
5. 배당금 (Dividend): 회사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분배하는 금액입니다. 배당금 지급은 회사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6. PER (Price-Earnings Ratio):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비율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 되었는지를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7.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며, 회사의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8. 장외거래 (OTC, Over-The-Counter): 주식시장이 아닌 장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고, 거래 조건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9.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 시장에 상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10. 매수와 매도 (Buy and Sell): 매수는 주식을 사는 행위, 매도는 주식을 파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11. 공매도 (Short Selling): 주식을 빌려서 팔고,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 방법입니다.
12. 블루칩 (Blue Chip): 재무 상태가 좋고,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대기업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13. 포트폴리오 (Portfolio): 다양한 종목의 주식을 혼합하여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14. 펀드 (Fund): 여러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15. 주식시장 (Stock Market):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코스피(KOSPI), 미국의 뉴욕 증권거래소(NYSE) 등이 있습니다.
16. 변동성 (Volatility): 주식 가격의 변동성을 의미하며, 주식 시장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7. 레버리지 (Leverage): 차입 자금을 이용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18. 분산투자 (Diversification): 투자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19.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 회사의 재무제표, 경영진, 시장 위치 등을 분석하여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20.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주가의 과거 움직임과 패턴을 분석하여 미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21. 유동성 (Liquidity): 자산이 얼마나 쉽게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22.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회사의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23.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회사의 수익과 비용, 순이익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24.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기록한 재무제표입니다.
25. 주주 (Shareholder):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26. 소액주주 (Minority Shareholder): 적은 양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를 의미합니다.
27. 대주주 (Major Shareholder): 많은 양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를 의미합니다.
28. 주주총회 (Shareholders' Meeting): 주주들이 모여 회사의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회의를 의미합니다.
29. 우선주 (Preferred Stock): 배당이나 자산 청구권에서 보통주보다 우선권이 있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30. 보통주 (Common Stock): 일반적인 주식을 의미합니다.
31. 주식 분할 (Stock Split): 주식의 액면가를 줄이고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32. 주식 병합 (Reverse Stock Split): 주식 수를 줄이고 액면가를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33. 신규상장 (New Listing): 새로운 주식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34. 상장폐지 (Delisting): 주식이 증권거래소에서 제외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35. 매매차익 (Trading Profit): 주식을 사고팔아 얻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36. 매매손실 (Trading Loss): 주식을 사고팔아 발생한 손실을 의미합니다.
37. 주식 계좌 (Stock Account): 주식을 거래하기 위해 개설하는 계좌를 의미합니다.
38. 신용거래 (Margin Trading): 대출을 통해 주식을 거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9. 대주거래 (Securities Lending): 주식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40. ETF (Exchange-Traded Fund): 주식처럼 거래되는 투자 신탁을 의미합니다.
41. 수익성 (Profitability): 회사의 수익 창출 능력을 의미합니다.
42. 성장성 (Growth Potential):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43. 안정성 (Stability): 회사의 재정적 안정성을 의미합니다.
44. 리스크 (Risk): 투자의 불확실성을 의미합니다.
45. 수익률 (Return): 투자로부터 얻는 이익 비율을 의미합니다.
46. 시장지수 (Market Index):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합니다.
47. 헤지 (Hedge): 투자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전략을 의미합니다.
48. 공시 (Disclosure): 회사의 재무 상태나 주요 사항을 공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9.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비공개로 모집된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50. 자사주매입 (Share Buyback): 회사가 시장에서 자사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국내주식 시간 안내

국내주식 매매시간은 크게 정규시장과 시간외시장으로 나뉩니다.


정규시장

· 매매시간 : 09:00 ~ 15:30 (주문은 08:2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 단, 정규시장 마감 10분 전에는 10분 단위로 주문 접수가 진행됩니다.

· 즉, 10분 동안(15:20 ~ 15:30) 모든 주문 접수를 받아서 정규시장 종료시간인 15:30에 한 번에 체결됩니다.

 

시간외시장

시간외시장 매매시간은 다시 3가지로 나뉩니다.

 

· 장시작 전 시간외 : 08:30 ~ 08:40 (주문은 08:2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08:40 한 번에 체결됩니다.

· 장종료 후 시간외 : 15:40 ~ 16:00 (주문은 15:3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16:00 한 번에 체결됩니다.

· 시간외 단일가 매매 : 16:00 ~ 18:00 10분 단위로 주문 접수가 진행되고 체결되기를 반복합니다. (총 12회)


모든 주문체결에는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가격우선 > 시간우선 > 수량우선 입니다.

 

주식 매수를 할 때는 높은 가격이 우선순위가 높고, 주식 매도를 할 때는 낮은 가격이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먼저 주문 접수를 진행하면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수량이 많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예를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

 

"15시 20분부터 삼성전자부터 매수 걸어놨는데 안되길래 계속 100단위로 정정하면서 매수 걸었습니다. 갑자기 15시30분에 바로 구입됐습니다. 그런데 주식 통장에 있는 돈은 그대로 있더군요. 뭔가 잘못된거 같아 글 올립니다."

 

 

정규시장이 종료되기 10분 전입니다. 15:20 ~ 15:30 사이에 주문접수가 시작되고, 15:30 정규시장이 종료되면서 모든 접수가 한 번에 체결되는 시간입니다. 단 체결이 진행되려면 주문체결 우선순위에 따라 종가보다 가격이 높은 경우에만 체결됩니다.

 

주식 통장에 돈은 그대로 있는 경우라면, 정규장 종료를 알리는 팝업창을 보시고 체결되었다고 오해하셨을 경우가 높습니다. 이날 삼성전자 주식을 꼭 매수하시려고 했다면 주문가격을 종가보다 높게 접수하셔야 했습니다. 주문가격이 종가보다 높아도 최종 체결가격은 종가에 맞춰 진행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KRX BBIG K뉴딜지수

KRX BBIG K뉴딜지수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종목 중 한국 주식시장을 선도하는 주도산업인 2차전지(secondary Battery), 바이오(Bio), 인터넷(Internet), 게임(Game), 총 4개 산업군 내 대표기업 3종목씩 총 12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하는 지수입니다. 미래 성장주도 산업으로 각광받는 4개 대표 업종인 배터리(B), 바이오(B), 인터넷(I), 게임(G)의 이니셜을 따서 BBIG K뉴딜지수로 명칭되었습니다. 

 

KRX에서 개발한 BBIG K뉴딜지수는 2020년 9월 7일 처음 발표되었고, 문재인 정부가 2020년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비전을 담고 있는 지수이기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의 약칭인 K뉴딜은 디지털과 비대면, 친환경 기반 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정책을 담고 있습니다.

 

※ 한국판 뉴딜 : 확고한 사람중심 포용국가 기반 위에 디지털(digital) 뉴딜과 그린(green) 뉴딜 두 개의 축으로 추진하며, 2025년까지 총 160조원(국비 114.1조원)을 투입하고 총 190.1만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RX BBIG K뉴딜지수 구성종목 선정

일평균시가총액, 일평균거래대금, 최근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상 관련 매출발생을 심사합니다. 일평균시가총액은 1조원 이상이어야 하며, 시장규모를 나타냅니다. 일평균거래대금 순위는 전체 심사대상종목수의 상위 70% 이내이어야 합니다. 특히 2차전지 산업군에 경우 최근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상에 매출이 발생되어야 합니다. 구성종목 선정은 매년 2회 정기적으로 변경하며, 정기변경일은 2월, 8월 마지막 매매거래일 입니다.

 

KRX BBIG K뉴딜지수는 산업군별로 시가총액 상위 3개 종목씩 총 12종목을 선정합니다. 산업군별로 25%, 산업군내 3종목이 1/3씩 비중하여 각 종목은 1/12의 동일가중비중방식으로 산출합니다.

 

KRX (2차전지, 바이오, 인터넷, 게임) K뉴딜지수는 산업군 내 시가총액 상위 3종목(TOP3 그룹)과 시가총액 4~10위 7종목(Plus 그룹), 총 10종목을 선정합니다. TOP3 그룹 3종목은 각 종목당 25%씩 총 75%, Plus 그룹 7종목은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적용하여 지수내 시가총액비중이 총 25% 입니다. 

 

 

LG화학 대신할 배터리 급등주 편입주식

2차전지 산업을 대표하는 10개 종목을 모아 만든 KRX 2차전지 뉴딜지수 종목은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포스코케미칼, SKC,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후성, 천보 입니다.

 

최근 2차전지 산업 시가총액 1위인 LG화학이 배터리 사업 분사를 결정하면서 주가가 크게 출렁거렸습니다. 배터리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 추진을 결정하면서 분할 후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직접 보유할 수 없다는 점이 투자심리를 위축했기 때문입니다. 12월 1일 신설법인 이름은 LG에너지솔루션(가칭) 입니다.

 

LG화학이 KRX 2차전지 뉴딜지수에서 빠지면 LG에너지솔루션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겠지만, 포스코케미칼, SKC,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후성, 천보 등 Plus 그룹 7종목도 급등주로 편입되어 큰 폭의 주가변동이 예상됩니다.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전략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비례대표를 포함해 180석 이상을 확보하는 대승을 거뒀지만, 이낙연 관련주는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낙연 관련주로 꼽히는 남선알미늄(008350)은 16일 오전 9시 22분 현재 0.90% 오른 50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한때 8% 가까이 오르기도 했지만, 낙승을 예상하고 선취매한 투자자들이 많았던 것인지 정작 장 개시 이후로는 변동 폭이 큰 모습이다.

참패한 미래통합당의 황교안 대표 관련주인 한창제지(009460)는 15% 넘게 급락하고 있다. 민주당의 제2 위성정당인 열린민주당도 1석을 확보하는 것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면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 관련주인 화천기계(010660)가 3%대 하락세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에 밀려 낙선하면서 진양화학(051630)과 진양산업(003780)이 23%, 14% 떨어지고 있다. 국민의당도 이번엔 돌풍을 일으키지 못하면서 안철수 관련주인 안랩(053800), 써니전자(004770)모두 11~13% 하락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표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회생하면서 관련주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홍준표 관련주로 꼽히는 세우글로벌(013000)은 15% 넘게 오르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전세계 주식시장 폭락이 코로나19 때문이라면 코로나19가 완화되면 주가는 대세상승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수많은 개미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삼성전자 등 우량주, 주도주를 중심으로 외인 매물을 받아냈습니다.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를 말이 있습니다.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 입니다. 

 

1990년대 후반 미국경제는 수년간 4%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하면서도 낮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태를 유지하는 이례적인 호경기를 누렸습니다. 당시 미국경제는 정보기술(IT)등으로 대변되는 신기술의 발달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물가상승을 동반하지도 않고도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월스트리트를 움직이는 유대인 투자전략가들은 지난 12년간 골디락스를 마감하는 시점에 코로나19가 절묘하게 발생했다고 얘기합니다.

 

10년 만기 장기 국공채 금리와 1년 단기 금리가 있습니다. 물론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당연히 높지요.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를 하향 돌파 후 일시적으로 상승돌파하고 다시 하향돌파해 버린 예사롭지 않은 일이 있었습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자 대세 상승장을 접고 폭락장으로 전화했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이 바로 그것입니다.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은 현상은 그 자체로 있을 수 없는 특이한 현상입니다. 결국 코로나19 폭락장은 눈에 보이는 현상일 뿐 월가에서는 이미 강력한 경기침체 신호가 발생했다고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미국 경제 침체가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모든 자산을 현금화 해야할 이유입니다. 이것이 동학개미운동 앞날이 불투명한 이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업이 이익이 나면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 이익을 분배하는데 이를 배당금이라고 합니다. 매년 혹은 반기에 배당금을 결정하고 지급합니다. 그런데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하면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이것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배당락이 발생하면 주가가 하락하리까요? 왜냐하면 회사 자금을 나눠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배당락이 발생하는 날을 배당락일 이라고 합니다.

 

보통 배당락이 발생한 주가는 갭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락을 한 주식은 금방 그 주가를 회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