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용어 사전 23

넥스트레이드 출범 국내 첫 대체거래소 개장시간 변화 달라진 점

출범일: 2025년 3월 4일운영 시간: 평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첫날은 오전 10시부터 운영)거래 시간:프리 마켓: 오전 8시 ~ 8시 50분메인 마켓: 오전 9시 ~ 오후 3시 20분애프터 마켓: 오후 3시 40분 ~ 8시주요 변화:거래 시간 확대: 기존 한국거래소(KRX)와 달리 하루 12시간 동안 주식 거래 가능.다양한 주문 유형 도입: 중간가 호가와 스톱지정가 호가 등 새로운 주문 방식 도입.거래 수수료 인하: 한국거래소보다 20~40% 낮은 수수료 적용.거래 종목 확대: 출범 초기 10개 종목에서 5주에 걸쳐 800개 종목으로 확대 예정.참여 증권사: 28개 증권사 중 14개 증권사가 전체 시장에 참여, 나머지 14개 증권사는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에 우선 참가.거래 가능한 종목 (초..

주식용어 사전 2025.03.04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식용어 50가지

주식 투자에 입문하는 과정에서 기본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50가지 주식 용어를 설명하겠습니다. 주식 용어를 이해하고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을 쌓으세요.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하시고, 자신의 재무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세요. 1. 주식 (Stock):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입니다. 2. 증권 (Securities): 주식, 채권, 투자신탁 등을 포함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3.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 회사의 현재 주가에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금액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4. 주가 (Stock Price): 주식의 현재 가격을 의미합니다. 수요와 공급, 회사의 실적, 경제 상황 등에 ..

주식용어 사전 2025.02.03

국내주식 시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국내주식 시간 안내 국내주식 매매시간은 크게 정규시장과 시간외시장으로 나뉩니다. 정규시장 · 매매시간 : 09:00 ~ 15:30 (주문은 08:2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 단, 정규시장 마감 10분 전에는 10분 단위로 주문 접수가 진행됩니다. · 즉, 10분 동안(15:20 ~ 15:30) 모든 주문 접수를 받아서 정규시장 종료시간인 15:30에 한 번에 체결됩니다. 시간외시장 시간외시장 매매시간은 다시 3가지로 나뉩니다. · 장시작 전 시간외 : 08:30 ~ 08:40 (주문은 08:2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08:40 한 번에 체결됩니다. · 장종료 후 시간외 : 15:40 ~ 16:00 (주문은 15:30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16:00 한 번에 체결됩니다. · 시간외 단일가 매매 : 16:..

주식용어 사전 2020.09.25

KRX BBIG K뉴딜지수 LG화학 대신할 배터리 급등주 편입주식

KRX BBIG K뉴딜지수 KRX BBIG K뉴딜지수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종목 중 한국 주식시장을 선도하는 주도산업인 2차전지(secondary Battery), 바이오(Bio), 인터넷(Internet), 게임(Game), 총 4개 산업군 내 대표기업 3종목씩 총 12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하는 지수입니다. 미래 성장주도 산업으로 각광받는 4개 대표 업종인 배터리(B), 바이오(B), 인터넷(I), 게임(G)의 이니셜을 따서 BBIG K뉴딜지수로 명칭되었습니다. KRX에서 개발한 BBIG K뉴딜지수는 2020년 9월 7일 처음 발표되었고, 문재인 정부가 2020년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비전을 담고 있는 지수이기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의 약칭인 K뉴딜은 디지털과 비대면,..

주식용어 사전 2020.09.25

2020년 4·15 총선 국회의원 정치테마주 몰락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비례대표를 포함해 180석 이상을 확보하는 대승을 거뒀지만, 이낙연 관련주는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낙연 관련주로 꼽히는 남선알미늄(008350)은 16일 오전 9시 22분 현재 0.90% 오른 50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한때 8% 가까이 오르기도 했지만, 낙승을 예상하고 선취매한 투자자들이 많았던 것인지 정작 장 개시 이후로는 변동 폭이 큰 모습이다. 참패한 미래통합당의 황교안 대표 관련주인 한창제지(009460)는 15% 넘게 급락하고 있다. 민주당의 제2 위성정당인 열린민주당도 1석을 확보하는 것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면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 관련주인 화천기계(010660)가 3%대 하락세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에 밀려 낙선하면서..

주식용어 사전 2020.04.16

동학개미운동 불투명한 현실, 앞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

전세계 주식시장 폭락이 코로나19 때문이라면 코로나19가 완화되면 주가는 대세상승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수많은 개미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삼성전자 등 우량주, 주도주를 중심으로 외인 매물을 받아냈습니다.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를 말이 있습니다.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 입니다. 1990년대 후반 미국경제는 수년간 4%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하면서도 낮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태를 유지하는 이례적인 호경기를 누렸습니다. 당시 미국경제는 정보기술(IT)등으로 대변되는 신기술의 발달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물가상승을 동반하지도 않고도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월스트리트를 움직이는 유대인 투자전략가들은 ..

주식용어 사전 2020.04.02

배당락이 발생하면 왜 주가가 떨어질까?

기업이 이익이 나면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 이익을 분배하는데 이를 배당금이라고 합니다. 매년 혹은 반기에 배당금을 결정하고 지급합니다. 그런데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하면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이것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배당락이 발생하면 주가가 하락하리까요? 왜냐하면 회사 자금을 나눠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배당락이 발생하는 날을 배당락일 이라고 합니다. 보통 배당락이 발생한 주가는 갭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락을 한 주식은 금방 그 주가를 회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식용어 사전 2020.03.31

미국 중앙은행 Fed(Federal Reserve System)에 맞서지 마라

세계 각국에는 돈을 찍어내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중앙은행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한국은행이 있고, 이러한 중앙은행은 정부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좀 다릅니다. 미국은 미국은행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연방준비제도(Fed)가 있습니다. 게다가 더욱 신기한 것은 미국의 중앙은행는 미국 정부의 소유가 아니라 민간 소유입니다. 연방준비제도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합니다. 연방준비제도를 구성하는 핵심 뼈대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그리고 연방준비은행입니다. 월가에는 가장 유명한 격언이 있습니다. 바로 "Fed(Federal Reserve System)에 맞서지말라"는 것입니다. 미 상원은 전날 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조2000억달러 규모의 부양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7..

주식용어 사전 2020.03.27

테마주 순환매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주식시장에는 테마주가 있습니다. 테마주는 재료가 있어야 하고, 재료는 돈과 뉴스로 포장되어 분위기를 만듭니다. 세력은 돈으로 시세를 만들어 테마를 형성하기도 하고, 사회적인 분위기가 투자심리를 일으켜 상승시세를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코로나19 테마주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테마주는 일반적으로 순환매가 발생합니다. 순환매란 어떤 종목에 호재가 발생해서 주가가 상승하면, 관련 테마주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어 순환적으로 매수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테마주는 총선, 대선, 조류독감, 미세먼지 등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테마도 있고, 사회적 이슈 등으로 발생하는 단일테마도 있습니다.

주식용어 사전 2020.03.26

파생상품이란 무엇인가요?

파생상품(derivatives)이란 상품 가치가 기초자산으로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기초자산이 곡물이나 원자재이면 상품파생상품이고 환율, 금리, 주가 등 금융자산이면 금융파생상품이라고 합니다. 즉, 파생상품이란 실물자산(농산물, 비철금속, 귀금속, 에너지 등), 금융자산(통화, 주식, 채권 등)과 같은 기초자산(underlying assets) 가격 혹은 지수로 경제적 가치가 파생(derive)되도록 만들어진 상품 또는 계약을 말합니다. 파생상품은 계약형태에 따라 선도(선물거래 포함), 옵션, 스왑으로 구분됩니다. 선물(futures)는 거래소를 통해 거래되지만,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는 장외시장에서 딜러나 브로커를 통해 거래가 이뤄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거래 유형은 ..

주식용어 사전 2020.0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