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 발효를 하루 앞두고 멕시코에 대한 관세 조치를 한 달 유예한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대화했고, 우리는 멕시코에 오는 4일부터 부과할 관세를 1개월 동안 즉시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힘.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관세가 한 달 동안 보류됐다"면서 관세 부과 유예 합의와 더불어 마약 및 중무기 밀매 차단을 위해 양국이 노력하기로 합의한 내용도 공개했음.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 대해서도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를 3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음. 트뤼도 총리는 전화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마약 문제 담당 '펜타닐 차르' 임명, 국경 강화 계획에 13억 달러 투입, 국경 지역에 마약 차단을 위한 인력 1만 명 투입 등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삼성전자는 이재용 회장이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반응형

 

반도체 관련주

삼성전자, DB하이텍, SK하이닉스, 인텍플러스, 오로스테크놀로지, 저스템, 티에프이

 

자동차 대표주
HL만도, 기아, 현대위아, 모베이스, 성우하이텍

 

2차전지/전기차/리튬
에코프로, 대주전자재료, 에코프로머티, 한농화성, 상신이디피, 강원에너지

 

IT 대표주
삼성에스디에스, LG디스플레이, LG전자
반응형
반응형


LIG넥스원,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7조원(전년대비 +41.95%), 영업이익 2,308.62억원(전년대비 +23.86%), 순이익 2,168.48억원(전년대비 +23.94%).

신한투자증권은 LIG넥스원에 대해 지난해 실적은 사업분야 전반의 매출 증대 및 이에 따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고 분석. 아울러 4Q24 연결 잠정실적은 매출액 1조 1,687억원(+72%, 이하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628억원(+70%), 영업이익률 5.4%(-0.1%p)를 기록하며,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35%, 영업이익 +19%(컨센서스 529억원), 영업이익률 -0.7%p의 호실적을 달성했다고 언급. 특히, 지난해 4분기 매출 급증은 국내 사업, 인도네시아 프로젝트의 인식 증가 영향이라고 판단된다고 분석.

아울러 올해에도 외형 성장이 지속되며, 수출 비중 증가와 저마진 인도네시아 프로젝트 비중 감소, 이외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지역의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고 밝힘.

 

반응형

 

방위산업 테마주
LIG넥스원, 엠앤씨솔루션, 웨이브일렉트로, 코츠테크놀로지, RF머트리얼즈, 현대로템, 
반응형
반응형


   
일부 언론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짐. 올트먼 CEO는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밝힘.

 

반응형

 

의료AI 관련주
토마토시스템, 딥노이드, 라이프시맨틱스, 이지케어텍, 셀바스헬스케어, 코어라인소프트, 온코크로스

 

반응형
반응형


언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가 이르면 3년 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전망한 것으로 전해짐. 빌 게이츠는 3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힘. 이어 “마이크로소프트가 그 분야의 경쟁자”라고 강조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양자 기계를 공동 설계 및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언급했음.

 

반응형

 

양자컴퓨팅 테마주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아이윈플러스, 우리로, 아이씨티케이, 한국첨단소재
반응형
반응형

 

트럼프 2기 정부가 탄소세 도입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 주식들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제품 생산 및 사용 과정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한 관세 정책에 탄소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지명자는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외국 오염 수수료'(foreign pollution fee)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전체 관세 프로그램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라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및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관련 주식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탄소배출 관련주
그린케미칼, 유니드, 에코아이, 에코바이오
반응형
반응형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을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수출하여 미국 흑연 산업을 저해했다는 예비 판정을 내렸습니다. 이 소식에 따라 관련 주식들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번 판정은 지난해 12월 미국 흑연 생산업체들을 대표하는 활성음극재생산자협회(AAAMP)가 미국 상무부와 ITC에 중국산 흑연에 대해 최대 920%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며 반덤핑 조사를 요청한 지 두 달 만에 나온 첫 번째 결과입니다. ITC의 예비 판정이 나온 만큼 해당 사안은 미 상무부와 ITC에서 병행 심사될 것이며, 상무부가 중국의 불공정 가격 책정 정도를 최종 판별하면 추가 관세가 부과될 전망입니다.

 

현재 중국은 글로벌 흑연 공급망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한국 배터리 업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그래핀 테마주
상보, 크리스탈신소재, 엘엠에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