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마인드 Q&A

금융소득 2천만원 넘으면 ISA 계좌가 해지될까요? 아니면 단순히 만기 연장만 안 되는 걸까요?

스톡마인드_ 2025. 5. 15. 22:47

 

 

 

 

 

이 질문은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활용해 절세를 계획하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 보셨을 겁니다. 특히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넘어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는 경우, 기존 ISA 계좌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지, 아니면 반드시 해지해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더라도 ISA 계좌가 바로 해지되진 않지만, '만기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왜 그런지,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하나씩 풀어 드리겠습니다.

ISA 계좌, 금융소득 2천만원 넘으면 해지될까?

 

 

 

 

 

ISA 계좌는 이자, 배당, 매매 차익 등 금융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나 세율 9.9%의 분리과세 혜택을 주는 절세상품이에요. 그런데 이런 혜택은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닌 사람'에게만 적용됩니다. 여기서 금융소득 종합과세란 연간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다른 소득과 합산해 최고 49.5% 세율로 과세하는 제도를 말해요. 즉, 2천만원 이하일 때는 ISA의 세금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지만, 이를 넘어서면 ISA의 매력이 많이 줄어들게 되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넘었다고 해서 바로 ISA 계좌가 해지되는 건 아닙니다. 기존 계좌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만기까지 활용이 가능해요. 다만, 만기 연장만 제한되는 점이 핵심이에요. 예를 들어, 2020년에 5년 만기로 ISA를 개설해 2025년에 만기가 도래하는데, 2024년에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넘었다면 2025년 만기 연장은 불가능하지만 계좌 자체가 당장 해지되진 않는다는 거죠.

ISA 만기 연장이 안 되면 어떻게 되나요?

 

ISA 계좌는 기본 3년에서 5년까지 설정할 수 있고,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이 끝나면 반드시 해지하거나 다른 계좌로 옮겨야 하죠. 그런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 만기 연장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즉, 기존 만기가 끝나는 해에 반드시 해지해야 하거나, 더 이상 세제 혜택 없이 그냥 일반 계좌처럼 두는 방법밖에 없어요. 이렇게 되면 ISA의 가장 큰 장점인 비과세한도 200만원(서민형은 400만원), 분리과세 혜택을 더 이상 누릴 수 없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만기 연장을 하면서 계속 절세 혜택을 받으려던 계획이 있다면, 그게 무산되는 셈이죠. 그러니 만기 전에 자산 운용 계획을 다시 점검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ISA 계좌 안에 담겨 있는 금융상품(펀드, 예금, ETF 등)의 처분 시점이나, 새 절세 상품으로의 이전 여부도 미리 고민하셔야 해요.

금융소득 2천만원 기준, 나도 해당될까?

 

여기서 잠깐! '나는 금융소득이 2천만원이나 되나?'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텐데요. 여기서 말하는 금융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예·적금 이자
  • 채권 이자
  • 주식 배당금
  • 펀드 수익 중 이자·배당 소득
  • 채권형 ETF 이자
    등이 모두 포함돼요.

단, 주식 매매 차익이나 해외 주식 매매 차익은 금융소득이 아니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내가 평소에 이자나 배당으로 얼마나 수익이 났는지, 국세청 홈택스의 '금융소득 조회 서비스'를 통해 미리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이 서비스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확인할 수 있으니, 이 시기를 잘 활용해 보세요.

ISA 해지와 만기 연장,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정리하자면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여부에 따라 ISA 계좌 관리 방법이 달라집니다.

  1. 금융소득 2천만원 이하일 때
    • 비과세 한도(200만원 또는 400만원) 혜택 가능
    • 5년 만기 이후 연장 가능(최대 10년까지)
    • 절세 효과 유지
  2.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 기존 계좌 유지 가능(즉시 해지 아님)
    • 만기 연장 불가
    • 이후 이자·배당 소득은 종합과세 적용
    • 절세 혜택 소멸

이처럼 ISA 해지 여부보다 '만기 연장 제한'이 더 중요한 포인트라는 걸 기억해 두셔야 해요. 혹시라도 이미 만기가 다가오고 있다면, 자산 운용 전략을 다시 세워서 다른 절세 상품으로 이전하거나, 해지 후 일반 금융상품으로 옮기는 방안도 검토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ISA 계좌가 바로 해지되진 않음
  • 단, 만기 연장이 불가능해져 이후 절세 혜택이 사라짐
  • 계좌는 유지 가능하지만 이자·배당 소득은 종합과세 대상
  • 비과세 한도, 분리과세 혜택을 유지하려면 2천만원 이하 유지가 중요
  • 홈택스 금융소득 조회 서비스로 사전 확인 가능

ISA 계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금융소득 2천만원 기준을 항상 염두에 두고, 만기 시점에 맞춰 전략을 조정하셔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근로소득 제외 후 금융소득만 신고해야 할 때

Q. 2024년 연말정산을 마친 후, "금융소득이 2000만원 이상 발생했는데,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근로소득은 제외하고 금융소득만 신고해야 하나요?"A.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융소득이 2000만원 이상

metaleading.tistory.com

 

 

금융소득만 있는데 인적공제 가능할까? 금융종합과세 공제항목 총정리

Q.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넘어서 금융종합과세 대상자가 됐는데요. 다른 소득 없이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만 있는데도 인적공제나 기부금 공제가 가능할까요? 근로소득자처럼 보험료나 카드

metaleadi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