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뉴스 정리

20250205 테마주 관련주 로봇 AI 반도체 2차전지 양자암호

열 아홉째 은하수 2025. 2. 5. 20:35
반응형

샘 올트먼 오픈AI CEO 한국 기업과 로봇 사업 협력 기대감 지속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비공개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서 한국 기업들과 로봇 사업에 대한 협력 의사를 밝혔습니다. 올트먼 CEO는 "한국에 온 이유는 로봇 공학에 대한 큰 관심과 한국 기업들의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두산로보틱스는 태국 소재 로보틱스 솔루션 개발 전문 기업 VRNJ Co., Ltd.와 자동차 제조용 협동 로봇 판매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두산로보틱스는 자사 협동로봇 모델 A·H·M·P 시리즈 등 4종류 300대를 2년간 VRNJ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또한 양사는 생산 현장에 적용할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수요처를 발굴하기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두산로보틱스류정훈 대표는 "동남아는 중국에 이은 제2생산거점으로 신규 공장이 늘어나는 추세라 협동로봇을 적용하려는 니즈가 크다"며 "현지 SI 업체와의 협업과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대규모 수주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주
클로봇, 에스피시스템스, 삼현, 에스피지, 케이엔알시스템, 인탑스, 이랜시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네이버 AI 서비스 본격화 및 카카오 오픈AI 협업 기대감 지속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다시 네이버 의장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네이버 이사회이해진 창업자의 사내 이사 복귀 안건을 오는 3월 주주총회에 올릴 계획이며, 현재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인 이해진 창업자는 주주총회에서 사내 이사로 선임되면 다시 이사회 의장 자리를 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가 이사회에서 나온 지 7년 만에 다시 복귀를 결심한 이유는 '네이버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의 본격 개발 및 글로벌 진출 활용 때문으로, 오는 3월 연임이 확실시되는 최수연 대표와 함께 네이버의 AI 미래 사업을 과감하게 추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울러, 카카오오픈AI전략적 제휴를 맺고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인 '카나나'를 비롯한 다양한 AI 서비스오픈AI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전일 간담회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카카오의 AI 미래 비전을 설명했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향성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전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회동을 갖고 인공지능(AI)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샘 올트먼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올트먼 CEO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AI 관련주
솔트룩스, 바이브컴퍼니, 이스트소프트, 코난테크놀로지, 카카오, 클로봇, 피앤에스미캐닉스, 제이엘케이, 뷰노

반응형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 및 이재용·최태원 회장 올트먼 오픈AI CEO 회동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美/中 무역전쟁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시진핑 협상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를 보이며 전 거래일 대비 51.78(+1.05%) 상승한 4,976.59를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1.71%), AMD(+4.58%), TSMC(+2.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0.82%) 등이 상승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엔비디아에 대해 딥시크의 부상과 글로벌 무역 전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향해 순항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모두 주가 회복을 예상하며, 이번 Tech 투자AI 키워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DeepSeek이 HBM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며, 여전히 메모리 대역폭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ASIC의 HBM 탑재량 증가도 기대되며, 삼성전자의 경우 주가 5만원 바닥의 믿음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어, 낮은 시장 기대감이 오히려 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SK하이닉스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낙폭이 심한 지금 저점 매수의 기회를 제공하며, SK하이닉스의 올해 호실적에 대한 의심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일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삼성전자 이재용 회장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만나 반도체와 AI(인공지능)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이재용 회장은 샘 올트먼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3자 회동을 가졌으며,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합작 등 삼성전자와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최태원 회장과 올트먼 CEO는 SK하이닉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을 포함한 반도체 분야와 AI 비서 서비스 협력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이 2023년 대비 18.1% 증가해 총 6,260억달러를 기록했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2025년 반도체 매출은 총 7,0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조사에서 삼성전자는 2024년 총 665억달러의 매출과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10.6%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하면서 2023년 1위였던 인텔을 제치고 2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했습니다.

 

반도체 관련주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HPSP, ISC

한국판 IRA 논의 및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영향

전기차 캐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배터리 업계를 위해 '한국판 IRA'로 불리는 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배터리 업계를 살리기 위해 공제액을 현금으로 지급하자는 내용으로 현행 연구·개발 비용이나 시설 설치에 들인 투자금을 법인세 감면 형태로 보존해주는 것에 비해 즉각적인 지원이 가능하다고 전해졌습니다.

 

국회 이차전지 포럼 대표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일 국회에서 '이차전지 배터리 직접 환급제 도입 토론회'를 주최하였습니다. 이상수 LG에너지솔루션 담당은 "배터리 산업은 중장기적으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승태 한국배터리협회 정책지원실장은 "앞으로 몇 년 동안의 설비 투자가 향후 배터리 판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략적으로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전향적 차원에서 직접 환급제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美-中 무역갈등 완화 낙관론테슬라(+2.22%), 리비안(+3.87%), 루시드(+4.64%) 등 주요 美 전기차 업체가 동반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발효 전 추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겠다고 밝히면서 협상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서두르지 않고 적절한 때에 시 주석과 대화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2차전지 전기차 관련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금양, 포스코퓨처엠, SK이노베이션, 에코앤드림, 에코프로머티, 엘앤에프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 기능 탑재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삼성전자가 차세대 모바일 보안 기술인 '양자 내성 암호(PQC)' 기능을 갤럭시 S25 시리즈에 최초로 탑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PQC는 현존하는 암호화 방식을 양자 컴퓨터가 위협할 가능성에 대비해 사용자 데이터를 한층 더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연결된 기기 생태계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보안 솔루션인 녹스 매트릭스에 'PQ EDP'를 도입하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시작으로 업계 최초로 PQC 기반의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를 지원해 다가올 양자 컴퓨팅 시대에 대비한 양자 내성 디지털 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의 양자컴퓨터 상용화 전망 발언 모멘텀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빌 게이츠는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 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며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가 그 분야의 경쟁자"라고 강조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양자 기계를 공동 설계 및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양자암호 양자컴퓨팅 테마주
아이윈플러스, 아이씨티케이, 엑스게이트
반응형